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e보건소 온라인 보건증 발급 신청 방법

by 검정고양이 2025. 3. 18.
반응형

식품 관련 업종에서 일하시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필요하고 자주 갱신해야 하는 '보건증'을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발급받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예전에는 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서 기다리고 발급받느라 시간과 노력을 많이 써야 했지만, 이제는 인터넷을 통해 집에서도 쉽게 받을 수 있답니다.

온라인 보건증 발급 신청 방법
온라인 보건증 발급 신청 방법

 

보건증이 필요한 업종과 갱신 기간

보건증이 필요한 업종과 갱신 기간
보건증이 필요한 업종과 갱신 기간

 

 

보건증(정식 명칭: 건강진단결과서)은 식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다양한 업종에서 꼭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음식점, 카페, 제과점, 편의점, 학교 급식실, 유흥업소 등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발급받아야 하는 필수 서류입니다.

 

보건증의 유효 기간은 1년이며, 유효 기간이 지나면 다시 건강 검진을 받아서 갱신해야 합니다.

 

보건증 온라인 발급 방법

 

발급 신청 전, 건강 검진 필수!

 

보건증을 온라인으로 신청하기 전에 반드시 가까운 보건소 또는 지정된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건강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일부 병원은 온라인 발급이 불가 한곳도 있으니 검진전 온라인 발급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 하세요.

 

건강 검진을 받은 후 최소 3일에서 최대 7일 이후부터 온라인 발급이 가능하니 꼭 기억해 두세요.

 

 

공공보건포털에 접속하기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사이트로 이동해주세요.

 

공공 보건 포털 e보건소

 

 

민원 서비스 - 증명 문서 발급 - 건강 진단 결과서

민원 서비스 - 증명 문서 발급 - 건강 진단 결과서
민원 서비스 - 증명 문서 발급 - 건강 진단 결과서

 

 

사이트에 접속한 후, 상단 메뉴의 민원 서비스에서 '증명 문서 발급'을 클릭하세요. 여기서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를 선택하면 됩니다.

 

 

본인 인증하기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휴대폰 인증, 아이핀 인증 중 편한 방식을 선택하여 본인 인증을 진행합니다.

 

 

보건소 선택 및 발급

 

 

이제 건강 검진을 받았던 보건소를 선택한 후, PDF로 다운로드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시면 끝입니다! 단, 건강 검진 후 최소 3일에서 최대 7일 이후부터 발급 가능하니 이 기간을 꼭 기억해주세요.

 

온라인 발급이 안 될 때 해결 방법

 

 

때로는 사이트 오류나 인증 문제로 온라인 발급이 안 되는 경우도 있죠. 그럴 때는 다음 방법을 사용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 브라우저 변경하기: 특히 크롬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니, 인터넷 익스플로러 또는 엣지 브라우저로 시도해보세요.
  • 본인 인증 방식 바꾸기: 공동인증서가 안 되면 휴대폰 인증이나 아이핀 인증을 사용해보세요.
  • 발급 가능 기간 확인하기: 검진 후 최소 3~7일은 지나야 조회가 되니, 기간이 충분히 지났는지 확인해보세요.

 

 

 

보건증 분실 또는 훼손시 재발급 방법

보건증 분실 또는 훼손시 재발급 방법
보건증 분실 또는 훼손시 재발급 방법

 

 

보건증을 잃어버렸거나 다시 출력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거예요. 이럴 때는 공공보건포털에서 발급 내역을 조회 하신후 재발급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단, 유효 기간이 지난 보건증은 재발급이 안 되고, 새로운 건강 검진이 필요하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보건증 온라인 발급 방법 총정리

보건증 온라인 발급 방법 총정리
보건증 온라인 발급 방법 총정리

 

 

  • 온라인 보건증 발급이 가능한 기관에서 건강 검진 진행
  • 건강검진 후 3~7일 이후 온라인 발급 가능
  • 유효 기간은 1년, 유효 기간이 지나면 재검진 필수
  • 오류 발생 시 브라우저 변경 또는 인증 방법 변경
  • 온라인 발급이 안 되면 보건소 직접 방문하여 발급 가능

 

 

이제 보건증 발급 때문에 더 이상 보건소에서 기다리며 시간을 허비할 필요가 없겠죠? 스마트하게 공공보건포털을 활용하여 간편하게 발급받으세요.

반응형